고요 살이 터/생각 공감 13

신화의 힘과 현존성 - 하이젠베르크 <부분과 전체>를 읽으면서 떠오른 생각

신화의 힘과 현존성 &lt;부분과 전체&gt;(하이젠베르크 지음, 김용준 옮김, 지식산업사)에서 닐스 보어와 하이젠베르크의 대화를 기록한 부분을 읽으면서 신화의 힘과 그 현존성에 대해 잠시 생각이 머물렀다. 두 사람 모두 자연과학자임에도 신화나 역사 같은 인문학에도 그토록 해박한 대화가 가능한..

2011년에 전광용의 소설 <꺼삐딴 리>를 독서토론한 소회

지난 토요일 중학생 독서토론에서 전광용의 &lt;꺼삐딴 리&gt;를 다시 다루게 되었다. 중학생 독서토론 모임을 시작한지 15년 가까이 되니까 이 책으로 예닐곱 번은 토론하였을 것이다. 하근찬의 &lt;수난이대&gt;와 &lt;흰 종이수염&gt;, 전광용의 &lt;사수&gt;와 &lt;꺼삐딴 리&gt; 이 네 편이 토론 대상 책이었..

완벽의 추구 - 탈 벤-샤하르(하버드 대 교수) / 노혜숙 옮김

완벽주의자는 실패의 고통을 거부하고 성공에 감사할 줄 모르기에 고통에서 헤어나지 못하지만, 최적주의자는 실패를 받아들이고 성공에 감사하기에 즐기며 살아간다.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완벽주의의 조건을 하나도 갖추지 못했음에도 나는 왜 완벽주의를 계속 집착하며 사는가? 어머니의 교육 영..